거동장애증후군-골다공증 매뉴얼[2019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선정] > 내과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거동장애증후군-골다공증 매뉴얼[2019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선정] > 내과

거동장애증후군-골다공증 매뉴얼[2019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선정]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ISBN
  • 9791155901052
저자명 대표저자 임승길
출판사 대한의학
출판년도 2019-02-28
판형 Hardcover l 1판 l 255 Pages
정가 50,000원
판매가 45,000원
도서상태 정상공급
포인트 구매금액(추가옵션 제외)의 2%
배송비결제 무료배송

선택된 옵션

  • 거동장애증후군-골다공증 매뉴얼[2019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선정] (+0원)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발간사

우리 모두 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가를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그러나 한 가지 예측 가능하면서 우리에게 아주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인구의 변화와 연령별 인구 분포라고 합니다최근 고령인구의 급증과 더불어 세간의 지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노화(노쇠)와 노화 관련 질환들입니다노쇠는 근육량의 감소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다근육량이 적으면 근골격계가 약해져 움직이기 꺼리고 무력감을 느끼는 것은 물론 골다공증 및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들을 악화시킵니다.

2016 10월 세계보건기구(WHO)도 근감소증을 미국질병분류코드에 등재하며 정식 질병으로 인정해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습니다최근 3-4년 전부터 노인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온 일부 학자들이 중심이 되어노화에 따른 근 골격계 질환을 ‘거동장애증후군’(Dysmobility syndrome)이란 새로운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일본에서는 ‘운동증후군(Locomotive syndrome)’이라고 부릅니다노인들의 자유로운 거동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들인 근육의 양근육의 강도운동수행 능력골다공증체질량 지수(BMI) 등을 한 덩어리 ‘증후군’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기존의 골다공증 치료는 골밀도 수치를 올리는 것에 치중합니다그러나 골다공증 치료를 잘 하였는데도 골절률이 원하는 만큼 줄지 않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골다공증 위기(osteoporosis crisis)의 한 단면으로골절을 초래케 한 뼈 이외의 요인들을 함께 교정해 주는 것을 간과해서 생긴 결과입니다.

그러나 거동장애군 관련해서는 아직 개념이 정확하게 정립되지 못하였고진단기준 또한 애매할뿐더러 아직 치료제라고 할 만한 전문약제가 없는 실정입니다골다공증의 경우에도 진단이 되어도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고 1년 이상을 지속해서 치료하는 비율도 매우 낮습니다또한약물 치료를 한다고 해도 최적의 약제를 선택해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본 「거동장애 증후군-골다공증」에서는 상기 기술한 다양한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또 폭넓게 접근해 보려고 노력하였습니다다만앞으로 계속해서 새로운 지식을 추가하고 그 내용을 더욱더 알차게 보완하여 갈 것을 다짐하는 바입니다또한 본 책자가 전공의보건과학 분야에 수고하시는 분들 및 일반인들에게 두 질환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비는 바입니다.

끝으로 「거동장애 증후군-골다공증」의 편집을 위하여 많은 수고를 아끼지 않았던 원영준이유미홍남기 교수 및 각 챕터를 책임지고 완성하신 저자들과 본 책자 발행에 아낌없는 노력을 기울여 주신 도서출판 대한의학 관계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19 2

대한골다공증학회 상임이사

한국 여성건강 및 골다공증 재단 이사

연세의대 내과 교수 임 승 길




- 목표 -
Chapter1 거동장애증후군
1.1 거동장애증후군의 개념, 진단 및 중요성
1. 거동장애증후군이란?
2. 거동장애증후군의 진단기준
3. 노화와 거동장애증후군
4. 거동장애증후군의 중요성
5. 거동장애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는 건강 장수의 비결
6. 거동장애증후군 개념, 진단, 치료 최적화

1.2 거동장애증후군의 실제와 경향
1. 거동장애증후군의 진단
2. 거동장애증후군의 치료

Chapter 2  골다공증
2.1 골다공증의 역학
1. 골다공증 진단
2. 골다공증 유병률
3. 골절 유병률
4. 국내 자료
5. 골절위험도
6. 미래 예측

2.2 골다공증의 병태생리
1. 최대골량 형성과 골다공증
2. 골재형성과 골다공증
3. 폐경 후 골다공증의 병태생리
4. 노인성 골다공증의 병태생리
5. 이차성 골다공증의 병인
6. 골다공증과 근감소증 및 거동장애증후군의 상호 이해

2.3 골다공증의 진단
2.3.1 골다공증 진단 총론
1. 골다공증성 골절
2. 척추 영상 평가
3. 골절위험도 평가
4. 골량 평가
5. 골질 평가
6. 이차성 골다공증 검사
7. 임상적 진단의 제안

2.3.2 골밀도 측정 및 골절위험도 평가
1. 골밀도 측정의 중요성
2. 골밀도 측정법에 따른 측정부위와 검사방법
3. 골밀도 측정 결과 해석 시 유의사항
4. 골밀도 측정의 추적 검사
5. 골절위험도 평가방법 및 의의
6. 그 외의 골절위험도 평가방법

2.3.3 골대사표지자 측정 및 활용
1. 골대사표지자의 종류
2. 골소실 예측
3. 골밀도 예측
4. 골절 예측
5. 치료효과 평가
6. 골대사표지자 측정 시 고려 사항
7. 정리

2.4 골다공증과 만성질환
2.4.1 골다공증과 당뇨병
1. 역학적 관점에서 본 당뇨병과 골다공증/골절의 연관성
2. 당뇨병이 골 취약성에 영향을 주는 기전
3. 결론

2.4.2 골다공증과 만성콩팥병
1. 만성콩팥병 관련 골다공증의 정의 및 진단
2. 만성콩팥병 관련 골다공증 치료의 변화 패러다임
3. 만성콩팥병-미네랄골질환의 관리 및 비약물적 치료
4. 만성콩팥병 관련 골다공증의 약물 치료
5. 결론 및 제언

2.4.3 골다공증과 간질환
1. 비알코올성 간질환
2. 알코올성 간질환과 골다공증
3. 바이러스성 간질환과 골다공증
4. 간경화와 골다공증
5. 일차진료의를 위한 진료 Tip

2.4.4 골다공증과 악성 종양
2.4.4.1 골다공증과 유방암
1. 골다공증 위험인자로서의 유방암
2. 유방암 환자의 골다공증 관리, 평가
3. 유방암 환자에서 골다공증 약제의 효과
4. 골다공증 치료 약제의 암세포 억제 효과
5. 결론
2.4.4.2 골다공증과 전립선암
1. 전립선암에 대한 호르몬 치료의 부작용
2. 골다공증의 위험인자로서 호르몬 치료
3. 호르몬 치료를 받는 전립선암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예방 및 관리

2.4.5 남성 골다공증
1. 남성도 골다공증을 걱정해야 하나?
2. 남성 골다공증의 원인
3. 남성 골다공증의 진단
4. 남성 골다공증의 치료

2.5 골다공증 치료의 총론
2.5.1 영양 (칼슘/비타민 D 포함)
1. 칼슘
2. 비타민 D
3. 그 밖에 골건강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
4. 골건강에 해로운 영양 요인

2.5.2 예방을 위한 운동 요법
1.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
2. 골다공증 환자를 위한 운동
3. 골다공증 환자에서 피해야 할 운동

2.5.3 골흡수억제제
1. 비스포스포네이트
2.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3. 데노수맙

2.5.4 골형성촉진제
1. 유전자 재조합 인간 부갑상선호르몬
2. 새로운 골형성촉진제 현황

2.5.5 골다공증 장기치료 시 접근법 및 주의할 점
1. 약제별 장기치료 시 접근법
2. 결론

2.6 골절 후 골다공증 치료 및 Fracture Liaison Service
1. 노인 골절 환자의 증가
2. 노인 골절 환자의 골절 후 통합적 관리 필요성의 이론적 배경
3. 급성기 노인 고관절/대퇴골절 환자 CP 개발의 필요성
4. 노인 골절 환자 의료 서비스 제공 모형 개발의 필요성
5. 노인 골절 환자 CP 적용 후 교육의 중요성
6. 해외사례 검토
7. 시사점
8. 결론

2.7 개원가에서 알아야 할 골다공증 관련 건강보험 급여기준
1. 골다공증 진단 관련 건강보험 급여기준
2. 골다공증성 골절이 없는 환자에서 골다공증 치료 관련 건강보험 급여기준
3. 골다공증성 골절이 동반된 환자에서 골다공증 치료 관련 건강보험 급여기준
4. 기타 골다공증성 환자에서 골다공증 치료 관련 주의점

Chapter 3  근감소증과 근기능약화
3.1 근육의 해부학적 구조와 병태생리
1. 골격근의 구조적, 기능적 기본단위인 근원섬유
2. 액토미오신교차결합주기와 근수축의 조절
3. 골격근의 발생, 회복 및 재생
4. 근감소증의 병태생리

3.2 근감소증의 정의 및 역학
1. 근감소증의 정의
2. 근감소증의 역학

3.3 근감소증 진단 및 근력 측정법
1. 근감소증 평가 요소
2. 근감소증의 선별검사
3. 유관학회별 근감소증 정의
4. 국내 연구 현황
5. 요약정리

3.4 근감소증의 치료
1. 운동
2. 영양
3. 테스토스테론
4. 선택적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제
5. 성장호르몬(GH)/IGF-1
6. 그렐린 및 그렐린 수용체 작용제

3.5 근력강화 운동법
1. 근력 운동의 효과
2. 근력 운동 시 근육의 변화
3. 근력 운동 시 근육의 기능
4. 근육 운동 시 동작의 종류
5. 근력 운동의 양
6. 근력 운동이 근감소증에 주는 영향
7. 근력 운동의 종류

Chapter 4  균형, 낙상, 노화의 종합평가와 예방
4.1 균형, 낙상 및 노쇠증후군
1. 균형
2. 낙상
3. 노쇠증후군

4.2 포괄적 노인 평가
1. 포괄적 노인 평가의 필요성
2. 노인 환자의 평가영역
3. 결론

4.3 고령화 시대와 보건의료
1.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현황
2. 노인 보건의료의 문제점
3. 고령인구를 위한 바람직한 보건의료

Chapter 5  거동장애증후군과 비만
5.1 인슐린저항성과 근감소증
1. 인슐린저항성이란
2. 인슐린 작용과 단백동화작용
3. 비만, 당뇨병 및 근감소증의 연관성
4. 인슐린저항성 환자에서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중재
5. 요약

5.2 근감소성 비만
1. 임상적 특성
2. 근감소성 비만의 치료
3. 결론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주문후 2~3일 내에 배송됩니다.

교환/반품

교환/반품 안내 입력전입니다.